동해·삼척·강릉에서 활동 중인 사진가 모임 ‘난 널 사진해’가 두 번째 사진전 ‘시간의 순간’을 오는 19일부터 23일까지 5일간, 동해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개최한다.‘난 널 사진해’는 ‘우연히 마주친 순간들, 시간의 순간을 담아서’라는 모토 아래 활동하는 단체로, 이번 전시는 ‘시간의 순간’이라는 주제 아래 회원 6명이 참여한다.이번 전시에는 ‘시간의 순간’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각자의 삶 속에서 포착한 찰나의 감정과 기억, 그리고 시간이 남긴 흔적을 사진으로 풀어낸다.메인 작품 총 42점이 전시되며, 사진전에 참여하지 않은 회원
‘씨앗의 모든 순간’을 주제로 한 제1회 종자사진 공모전 수상작이 가려졌다. 국립종자원이 참가작 533건 중 20점을 선정했다. 대상은 ‘참깨씨 뿌리기’에게 돌아갔다. “정성스럽게 종자를 뿌리고 있는 농부의 근면한 손길을 통해 생명이 시작하는 순간이 잘 표현됐다”는 심사평이다.최우수상 ‘나이트 체리 블라섬’은 밤에 흐드러지게 핀 벚꽃을 고추, 오이, 멜론, 호박씨로 표현했다.우수상은 ‘마늘심기’, ‘강낭콩 종자’, ‘발아의 생명력’이 차지했다. www.seed.go.kr와 www.종자사진
쿠알라룸푸르에서 페낭까지 가는 버스 창밖으로 아파트단지와 정돈된 주택들이 끝없이 이어진다. 그러다 어느 순간 원시림을 스쳐 지나가고, 문명과 자연이 끝없는 평행선을 그리는 듯했다. 더운 나라에서 ‘에어컨 실외기는 평생 멈추지 않겠구나’ 끊임없는 에너지 소모를 떠올리던 그 순간, 페낭대교가 눈앞에 펼쳐졌다.13.5km, 1985년 완공된 당시 아시아 최장 교량, 세계 3위의 해상교량.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 다리를 국가 발전의 상징으로 삼았다. 다리를 세우는 일은 곧 나라의 미래를 세우는 일과 같다는 의미였다.페낭 다리는 현대건설이 공
배우 김희선, 한혜진, 진서연, 윤박, 허준석, 장인섭이 10일 오후 서울 상암 스탠포드호텔에서 열린 TV조선 새 월화 미니시리즈 ‘다음생은 없으니까’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다음생은 없으니까’는 매일 같은 하루, 육아 전쟁과 쳇바퀴 같은 직장 생활에 지쳐가는, 마흔
충북도의회가 이탈기업이 속출하는데 투자유치 자축만 하고 있다며 충북도의 소홀한 지역기업 관리를 강하게 질타했다. 충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지난 7일 제430회 정례회에서 충북경제자유구역청, 투자유치국에 대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이날 이옥규 의원은 “한쪽에서는 투자유치 63조원이라고 풍선을 띄우며 자축하는데, 다른 한쪽은 산단 현장에서 공장이 멈추고 노동자 수백 명이 거리로 내몰릴 위기에 놓여 있다”고 우려했다.이 의원은 “대기업 공장이 통째로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이 토큰 발행 초기 시장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고, 투명한 가격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새로운 경매 모델인 CCA를 선보였다고 더블록이 14일 보도했다.CCA는 경매 시작 가격, 수량, 기간 등 주요 조건을 프로젝트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참가자는 각자 희망 최고가로 입찰할 수 있고, 시장가가 그 이하로 내려오면 거래가 자동 체결된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경우, 해당 블록에서는 비례 배분이 이뤄진다.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 문페이가 기업용 스테이블코인 스위트를 출시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3일 보도했다.이번 프로젝트는 기업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골자.문페이는 멀티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지원하는 M0와 협력해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배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문페이는 이번 스위트를 통해 기존 법정화폐-암호화폐 전환 플랫폼을 넘어 발행, 유동성 관리, 결제까지 지원하는 스테이블코인 솔루션을 제공한다.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