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는 시민들의 다양한 복지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이용자를 오는 8월 8일까지 모집한다.모집인원은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80명, 아동·청소년 음악멘토링 61명, 아동·청소년 건강관리 180명, 출산및영유아용품렌탈 54명, 음악재활힐링 20명, 성인재활심리지원 47명, 성인건강코칭 92명, 5060인생예찬!장년층음악정서지원 13명, 어르신기능향상 93명 등 총 640명이다.신청을 원하는 시민은 서비스별 구비서류를 갖춰 주소지 읍면사무소 또는 동주민센터에 방문해 접수하면 된다.이용자로 선정되면 등록된 제공기관
법무부 청소년 범죄예방위원 완주지구가 최근 갑작스러운 가족의 사망으로 어려움에 처한 완주군 구이면의 한 아동 가정을 위해 도배와 장판을 새로 교체하는 주거환경 ...
전북 완주군이 여름방학을 맞아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 보호에 나섰다. 최근 반복되는 방임·화재 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아동을 대상으로 집중 점...
전북 완주군 드림스타트가 에너지 취약계층 아동 가정에 여름철 냉방비를 지원한다.월드비전 ‘아이시원’ 사업에 선정된 완주군은 드림스타트 대상 아동 5가구에 각 30만 원씩, 총...
경기 군포시 드림스타트는 학령기 아동 173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지원사업을 운영중이라고 24일 밝혔다. 건강검진 지원사업은 원광대학교산본병원, 남천병원, 지샘병원과 업무협약...
밀양 센텀플란트치과가 21일 시청을 방문해 지역의 저소득 아동·청소년을 위한 성금 500만 원을 기탁했다. 센텀플란트치과는 2월에도 밀양시민장학재단에 장학기금으로 500만원을 기탁했으며, 저소득 아동을 대상으로 등 무료 진료도 제공하고 있다.
부천문화재단은 16일 재단 회의실에서 부천시지역아동센터연합회와 ‘지역 아동·청소년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악기 기증식을 진행했다.이번 협약은 재단에서 추진한 문화예술사업 과정에서 수집한 중고 악기를 악기 활용이 필요한 지역아동센터 오케스트라 등 기관에 기증하고, 아동·청소년 대상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문화복지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문화복지 사각지대 아동·청소년 대상 악기 기증 및 보급
김만식 기자 = 부여군은 ‘부여군 4기 아동참여위원회 발대식’ 이후, 아동·청소년 참여위원회가 처음으로 함께하는 합동 현장 체험학습을 지난 8
중부뉴스통신 = 울산 중구 드림스타트가 여름방학을 맞아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아동 204명의 돌봄 환경을 점검한다.이번 점검은 최근 보
중부뉴스통신 = 서울 용산구가 아동과 청소년의 구정 참여 기회를 보장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권리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아동·청소년 정책 제안 참여사업’을 운
인기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최수명 화천부군수 퇴임식 화천커뮤니티센터에서 열려
최수명 화천부군수 퇴임식이 14일 화천군 화천읍 화천커뮤니티센터에서 최문순 화천군수를 비롯해 최수명 부군수 부부와 가족, 친지, 류희상 군의회 의장, 조웅희 부의장 동료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지난 1991년 공직에 입문한 최수명 부군수는 이날 퇴임식을 끝으로 34년 간의 공무원 생활을 마감했다.
Generic placeholder image
아파트 진화의 시작, 세라젬과 함께하는 경기광주의 첫 헬스케어 아파트 ‘라온프라이빗’ 선보여
경기광주 최초의 민간임대 브랜드인 라온프라이빗이 글로벌 홈 헬스케어 브랜드 세라젬과 손잡고 복합 헬스케어 커뮤니티 및 서비스를 도입하며 브랜드 경쟁력을 한층 높였다.최근 국내 아파트 시장에서는 건강과 웰니스가 새로운 주거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입주민의 건강 관리를 위한 IoT 기반 헬스케어 기기 도입, 맞춤형 건강 콘텐츠 제공, AI 기반 웰니스 서비스 등 다양한 혁신이 이어지는 가운데, 라온프라이빗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세라젬과의 협업으로 차별화된 헬스케어 솔루션을 선보인다.세라젬은 전 세계 70여 개국에 진출해 의료기기업계
Generic placeholder image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한들초 통학로 안전대책’ 발로 뛰며 해결 나서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이 주민과 학생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다시 현장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노 의원은 8월 14일 오전 10시, 천안한들초등학교 1층 회의실에서 ‘천안한들초등학교 통학로 안전대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백석5지구 공사로 인한 통학로 폐쇄 문제와 보행 안전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
Generic placeholder image
임오경 의원 “이재명 정부 성공 위해 당정협력 강화하겠다”
광명지역신문=장성윤 기자> 광명갑 임오경 국회의원이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 활동을 성공리에 마쳤다. 국회문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임 의원은 대선 직후 국정기획위 사회2분과위원으로 위촉돼 각 부처 및 전문가 간담회, 현장방문, 업계현안청취 등을 통해 국정과제 발굴에 최선을 다해왔다.문화예술관광체육분야에 있어서는 K-컬쳐시대 핵심 콘텐츠와 연관산업육성을 위해 정책금융 10조원, 공연형 아레나 등 산업성장기반을 확충하기로 했다. K-아트과 한국어·전통문화 등의 지평을 확대하고 K-컬쳐 연관산산
Generic placeholder image
충남콘텐츠진흥원 ‘충남쏭 공모전’ 개최
충남콘텐츠진흥원은 충청남도의 정체성과 감성을 담은 창작 음악을 발굴·확산하기 위한 ‘충남쏭 공모전’을 8월 13일부터 9월 3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공모전은 ‘음악으로 기억하는 충남’을 주제로, 충남의 장소·인물·사건·풍경·감정 등 지역의 이야기를 음악으로 풀어내는 창작곡을 모집한다. 개인 또는 팀 단위로 참가할 수 있으며, 연령이나 거주 지역에 제한 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공모전은 예선과 결선의 2단계로 진행된다. 예선을 통과한 7팀은 결선 무대에 진출하며, 결선은
최신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아침을 열며] 쓸데없는 소설 읽기의 쓸모
옛이야기 그림책 는 게으름뱅이 아들의 기상천외한 성공담이다. 온종일 뒹굴 거리는 아들을 보다 못한 어머니는 결국 아들을 쫓아낸다. 아들은 동네 똥을 주워 모아 참깨를 심고, 수확한 참깨로 기름을 짠 다음 강아지와 밧줄에 기름을 발라 고소한 냄새로 호랑이를 꾀어내 큰 부자가 된다. 황당
Generic placeholder image
[발언대] '호구'의 시대는 끝났다
시장은 냉정하다. 최근 벌어지는 해외 브랜드의 퇴장, 국내 관광지의 외면, 도심 상권의 공동화는 개별 현상이 아니다. '제값'을 못하는 공급자를 향한 현명한 소비자들의 조용한 혁명이다.이제 브랜드의 후광이나 번지르르한 외관만으로 통하는 시대는 끝났다. 본질, 즉 가치를 증명하지 못하면
Generic placeholder image
횡성군, 국가중요시설 테러 대응 훈련 '2025을지연습' 실제훈련 
횡성군이 2025년 을지연습의 일환으로 20일, 한국수자원공사 횡성원주권지사에서 ‘국가중요시설 테러 대응 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실전에 가까운 시나리오를 적용해 복합적인 테러 상황에 대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이번 훈련은 적 드론을 이용한 독극물 테러 및 본관 폭파 시도라는 복합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구성됐다. 수자원공사의 초동대처 및 상황전파를 시작으로 관, 군,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이 합동 출동해 훈련이 전개됐다.가장 먼저 폭발로 인한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 작전 실시를 시작으로,
Generic placeholder image
동해해경청–해군 제1함대, '2025 을지연습' 공조회의 대응태세 확립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은 20일 오전 10시 30분, 해군 제1함대사령부에서 제1함대사령관과 ‘2025 을지연습 관련 작전 공조회의’를 개최했다.이번 회의는 국가비상 상황에 대비한 해양경찰과 해군 간, 협력체계를 재점검하고, 연습 과정에서 도출된 과제를 공유·보완하기 위해 마련됐다.양 기관은 전시 상황에서의 해상작전 공조를 더욱 강화하는 한편, 평시부터 반복적인 훈련과 준비를 통해 실제 위기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태세를 확립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김성종 동해해경청장은 “해양안보와 국민 안전을 지키는 일은 평시의 철저한 준비에
Generic placeholder image
[편집국에서] 황혼의 경남
'16만 8000가구. 2023년 65세 이상이면서 홀로 사는 경남의 가구 수. 2015년 대비 61.5% 6만 4000가구 증가.' 1인 가구 증가 현상은 더 이상 새삼스러울 것이 없지만, 며칠 전 기사에서 유독 고령층 지표만은 새삼스러웠습니다. 사회적으로 더 취약할 수밖에 없는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