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오는 13일 경북 지역 74개 시험장, 825개 시험실에서 20,827명이 응시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수험생 수는 지난해보다 971명 증가했으며, 재학생이 884명 증가한 16,553명, 졸업생이 17명 증가한 3,603명,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70명이 증가한 671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졸업 예정자 수가 전년 대비 5.6% 증가했고, 졸업생과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도 각 0.5%와 11.6% 증가하여 전반적인 응시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경북선수단의 제106회 부산 전국체전 종합 3위 달성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21일 기준 경북선수단은 금메달 73개, 은메달 74개, 동메달 88개를 획득, 총 235개의 메달로 현재 종합 4위를 달리고 있다. 이날 개인전에서도 금메달 5개를 따는데 그쳤고, 단체전에서도 부진했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홈 이점을 살린 부산에 종합 3위 자리를 내줄 가능성이 높다. 이날 육상 남고 10kmw 로드레이스에서 서범수가 금메달을 땄고, 육상 트랙 남고 1500m 장준혁, 여고 3000mSC
충남도는 지난 17∼23일 7일간 부산 일원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총 252개 메달을 획득하며 4년 연속 종합 5위의 성적을 거뒀다. 도에서는 이번 대회에 50개 종목 1976명의 선수단이 참가했으며, 금메달 74개, 은메달 75개, 동메달 103개로 총 252개의 메달을 획득해 총득점 4만 5334점을 기록했다. 특히 도는 2001년 전국체전 금메달 84개 이후 24년 만에 최다 금메달 74개를 따내 충남체육의 저력을 다시 한번 전국에 입증했다. 이번 대회 1위는 경기도가 차지했고 2위 부산광역시,
경기도와 LG전자가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대학교 21곳에 11월까지 텀블러 세척기를 도입해 텀블러 사용 문화 활성화에 나선다.경기도와 LG전자는 지난 3일 도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과 LG전자 윤대식 대외협력담당, 이향은 HS CX담당 등이 참석했다.협약 내용을 보면 LG전자는 도내 대학 21곳에 텀블러 세척기 1대씩을 설치하고, 경기도는 행정적 지원을 통해 설치와 활용을 독려한다.경기도는 도내 74개 대학을 대
김재욱 기자 = 경북교육청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오는 13일 경북 지역 74개 시험장, 825개 시험실에서 2...
인기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광주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025 청소년 마음건강 포럼’ 성료
중부뉴스통신 = 광주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31일 광주시 청소년수련관에서 열린 ‘2025 청소년 마음건강 포럼’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포럼은 청소년 마음건
Generic placeholder image
한미 국방장관, 8년 만에 JSA 판문점 동행 나선다
안규백 국방부장관과 피트해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3일 함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찾는다.한미 국방장관이 나란히 JSA를 찾는 건 2017년 송영무·제임스 매티스 당시 장관 이후 8년 만이다.해그세스 장관은 4일 열리는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날부터 이틀 일정으로 방한했다. 첫 일정으로 안 장관과 함께 JSA를 찾아 한미동맹의 결속을 재확인할 예정이다.이번 동반 방문은 단순한 상징을 넘어 한미 국방 공조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자리로 평가된다. 특히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과 최근 한미정상회담의
Generic placeholder image
긴장 속 '불금'의 할로윈… 인파 몰렸지만 큰 사고는 없어
할로윈의 밤이 다시 사람들로 넘쳤다. 참사 악몽은 되풀이되지 않았지만 긴장감은 여전했다.31일 밤 서울 주요 유흥가에는 할로윈을 즐기려는 젊은 층이 몰리며 도심이 발 디딜 틈 없이 붐볐다. 특히 마포구 홍대 거리에는 10만명이 넘는 인파가 몰려 ‘혼잡 경보’가 발령됐다.홍대 관광특구에는 이날 오후 9시부터 11시 사이 약 11만명이 집계됐다. 2022년 이태원 참사 이전 수준의 인파가 돌아온 셈이다. 거리 전광판엔 ‘매우 혼잡’이라는 붉은 경고 문구가 떠올랐다.자정 무렵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서 인파는 8만8000명 수준으로 줄었다.
Generic placeholder image
달서구, MZ세대 겨낭 결혼출산 정책 안내
대구 달서구가 저출산 대응 전략 프로젝트 ‘출산 붐 달서’의 하나로 MZ세대를 겨냥한 맞춤형 정책 안내 서비스를 선보였다. 2일 달서구에 따르면 최근 연애부터 육아까지 생애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정보 플랫폼 ‘달서 결혼출산 정보 다이어리’를 정식 오픈, 운영에 들어갔다. 이 플랫폼은 연애·결혼·임신·출산·영유아·다자녀 등 총 6단계별 106개 정책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지자체에서는 보기 드문 ‘다이어리형 UX·UI 디자인’을 적용, 감성적이면서도 직관적인 화면
Generic placeholder image
[영상] 에스파 윈터, '눈빛이 화보다' 홀리데이에 함께하고픈 예쁨 비주얼
가수 에스파 멤버 윈터가 10월 31일 오후 서울 성동구 성수동 한 패션 브랜드 매장 오픈 행사에 자리해 포토타임을 가지고 있다.iMBC연예 홍밝음※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제, 배포 등을 금합니다.
최신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제주작가회의, 2025년 ‘제주작가’ 신인상 발표...동화 현희, 시나리오 우종희
제주작가회의는 2025년 계간 ‘제주작가’ 신인상 수상자로 동화 부문에 현희씨, 시나리오 부문에 우종희씨를 선정했다.수상 작품은 동화 ‘나를 불러 봐’와 시나리오 ‘해가 뜨는 밤’이다.현희씨의 동화 ‘나를 불러 봐’는 저학년 아이들의 심리와 신경전이 쫀득쫀득하게 읽히는 작품으로 술술 익히는 문장과 매끄러운 스토리 전개가 작품에 빨려들게 한는 평가를 받았다.우종희씨의 시나리오 ‘해가 뜨는 밤’은 작품을 풀어나가는 수준이 기존 작가의 경지와 다르지 않을 정도로 돋보이는 수작이라는 호평을 받았다.시상식은 내년
Generic placeholder image
강원, 제2차 어촌지도자협의회 개최
강원특별자치도는 11월 7일 오후 2시, 강릉원주대학교 해양과학교육원 대강당에서 ‘2025년 제2차 어촌지도자협의회’를 개최된다.어촌지도자협의회는 어촌·수산업 발전의 자문 및 가교 역할을 담당하는 시군 어촌계장, 도 단위 협회장, 여성어업인 대표 등 총 125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 2회 이상 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이번 제2차 협의회에는 도 단위 협회장 및 시군 협회장, 여성어업인 대표 등 58명을 대상으로 전문 강사를 초빙해 ‘어선해양사고 예방교육’, ‘생활법률 상식’, ‘심뇌혈관 질환 예방관리
Generic placeholder image
내년 전셋값 4% 급등 전망, 수도권 중심 양극화 더 짙어진다
내년 전국 전세가격이 올해보다 두 배 이상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신규 입주 물량이 줄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몰리면서 전세난이 다시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주택 매매가격 역시 수도권은 오르고 지방은 내리는 ‘양극화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전세가격이 올해보다 4.0%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2024년 연간
Generic placeholder image
연천,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연천군은 5일부터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건조벼 매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혔다.올해 연천군 매입계획량은 총 2,982톤으로, 이 중 포대벼는 2,682톤, 산물벼는 300톤이다. 이는 지난해 배정량 대비 약 21% 감소한 수치이다.특히, 올해부터 연천군 정부양곡 매입품종이 ‘대안’과 ‘참드림’에서 ‘연진’과 ‘참드림’으로 변경됐다. ‘대안’ 품종은 수발아 문제로 보급이 중단됐으며, ‘연진’은 ‘대안’을 완전 대체하고 연천군 주 재배품종으로 자리 잡았다.산물벼는 지난 10월 31일
Generic placeholder image
강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100억원 확보 쾌거
강진군은 마량면 수인항이 3년여의 도전 끝에 최근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어촌회복형에 선정돼 국비 포함 100억원을 확보했다고 5일 밝혔다.어촌신활력증진사업 유형2 어촌회복형은 기존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개편을 통해 새롭게 신설된 형태이다. ‘어촌·어항재생 사업지의 성과 고도화 및 한계를 보완하고, 취약한 생활·안전 인프라 및 생활서비스 개선으로 어촌에 새로운 활력 제고’라는 사업목표를 두고 있다.사업비는 최대 100억원으로 어촌회복형 사업목표와 같이 어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음과 동시에 지방의 어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