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차려진 식탁에서 밥맛은 소비자가 쌀의 가치를 직접 체감하고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밥맛이 좋아야 쌀의 품질과 가치가 인정받고, 소비자의 선택으로도 이어진다.쌀맛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감각검사다. 이는 사람의 미각, 후각, 시각, 촉각, 청각 등 오감을 활용해 밥맛, 향, 질감, 윤기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로 감각검사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품질 지표 개발이 시도되어 왔지만,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 그러나 최근 농업 연구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