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제강지주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251억원으로 집계돼 지난 2023년 대비 61.9%나 감소했다고 4일 공시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3조6912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5.7% 줄었다.실적이 악화한 것에 대해 세아제강지주 관계자는 "전방산업 수요 부진으로 인한 시황 악화
삼성전자가 4분기 실망스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특히 반도체 부문 실적이 2년 연속 감소하며 실적 회복에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31일 삼성전자는 2023년 4분기 연결 기준 매출 75조 8000억원, 영업 이익 6조 5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 분기보다
CJ제일제당이 별도 기준 지난해 매출 17조8710억원, 영업이익은 1조323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0.1% 줄었고, 영업이익은 26% 증가했다. 해외 가공식품 실적 호조로 지난해 주력한 'K-푸드 신영토 확장' 전략이이 성과를 거둔 것으로 풀이된다.대한
네이버의 지난해 매출이 10조원을 넘어섰다.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가운데 매출 10조원을 달성한 것은 네이버가 역사상 처음이다. 2018년 처음으로 매출 5조원을 넘겼고, 이후 신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하며 6년만에 '매출 10조원' 클럽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네이버
DL㈜는 지난해 매출 5조6170억원, 영업이익 4141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11.9%, 영업이익은 174.8%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석유화학 업황 불황에도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으며, 에너지를 비롯한
고려아연이 지난해 4분기에도 영업 이익 흑자를 기록하면서 100분기 연속 흑자라는 금자탑을 달성했다. 또 창사 이래 처음으로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며 지배 구조 개선에 속도를 낸다.고려아연은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3조 4426억원, 영업 이익 1328억원을 기록했
한화오션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1690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같은 기간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3조2532억원으로 나타나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5.8% 증가했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조업 일수 증가와 고선가 프로젝트의 매출이 반영되면서 매출이 증가했고, 상
SK하이닉스가 23일 실적 발표회를 열고 2024년 매출액 66조 1930억원, 영업 이익 23조 4673억원, 순이익 19조 7969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혔다.매출은 기존 최고였던 2022년 44조 6216억원보다 21조원 이상 높은 실적을 달성했고, 영업 이
도립서귀포예술단은 6일 안덕지역아동센터 공연을 시작으로 ‘2025년 찾아가는 음악회’를 진행한다.‘찾아가는 음악회’는 공연장을 벗어나 음악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지 찾아간다는 취지에서 시작된 공연이다.도립서귀포예술단은 매년 서귀포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음악을 선물하며 지난해에만 25회 이상의 공연을 펼쳤다.도립서귀포예술단은 이날 안덕지역아동센터를 시작으로 7일에는 비전지역아동센터, 14일에는 중문제일행복한홈스쿨지역아동센터에서 찾아가는 음악회를 개최한다.도립서귀포예술단은 ‘밤양갱’, ‘아파트’ 등 대중가요와 ‘캉캉’, ‘젓가락
동해 심해 가스전의 7개 유망구조 중 하나인 ‘대왕고래’ 해역에서 1차 탐사시추 결과, 가스 징후는 확인했지만 규모 면에서 경제성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정부는 그러나 근원암, 저류암 등으로 구성되는 전반적인 지질구조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했다며 외자 유치를 통해 나머지 6개 유망구조에 대한 개발 동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시추에서 얻은 시료를 정밀 분석해 보다 가능성이 높은 유망구조를 특정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6일 산업부 고위관계자는 “이번 시추에서 잠정적으로 가스 징후가 확인됐지만 그 규모가 경제성을 확보
본 기사는 ENN이 전하는 최신 환경뉴스입니다. 앞으로 본지는 ENN은 물론 전세계 환경전문 언론에서 전하는 세계 환경문제도 함께 전달, 보도할 예정입니다. 인도, 10년 남짓 만에 호랑이 개체 수 두 배로 증가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인도에서 호랑이의 수가 10년 만에 약 두 배로 증가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지역 사회가 동물과 함께 사는 법을 배웠기 때문이라고 한다.인도의 국립 호랑이보호청은 2010년에서 2022년 사이에 호랑이 개체수가 1,706마리에서 3,682마리로 증가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