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시범도입 예정인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이 시작 전부터 난관에 봉착했다.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는 동네의원을 전담 주치의로 지정해 환자마다 병력과 질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의료취약지역의 의료 공백 해소 방안으로 마련됐다.지역주민이 주치의를 선택해 등록하면 건강 위험 평가, 만성질환 관리, 건강검진, 예방접종, 건강 교육, 전화 상담, 방문 진료 등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제주도는 제주시 삼도1·2동과 서귀포시 성산읍 등 7개 읍·면·동지역에서 65세 이상 노인과 12세 이하 아동 등 약 5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