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반도체가 지난해 연간 매출액 5589억원, 영업이익 2554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251.5%, 영업이익은 638.7% 증가한 수치다.4분기 실적은 매출액 1496억원, 영업익 719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186.5%, 영업익 290.6% 증가한 규모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액은 28.3%, 영업익은 27.6% 감소했다.직전 분기 대비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매출액은 523억원에서 1496억원으로, 영업이
위메이드플레이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 1204억원, 영업이익 11억원, 당기순이익 254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당기순이익도 486.3% 늘었다. 또 4분기의 경우 매출 318억원, 영업이익 19억원, 당기순이익 26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3146.4%, 1079.5% 증가했다. 회사 측은 "지속적인 경영관리에 따라 670억원의 역대 최대 연 매출을 기록한 플레이링스의 성장 등이 영업익, 매
충북 청주 오송에 본사를 둔 HK이노엔은 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이익이 882억원으로 전년 대비 33.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매출은 8971억원으로 8.2% 늘었다. 순이익은 30.5% 오른 616억원이었다.4분기 개별 기준 영업익은 224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8.2% 올랐다.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5.2%, 26.9% 증가한 2천358억원, 192억원으로 집계됐다.HK이노엔은 지난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수익성이 커지면서 전문의약품 부문 이익이 증가해 영업익 성장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
LG이노텍이 2024년 연간 매출 21조2008억원, 영업이익 7060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2.9%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2023년 매출 20조원을 처음 돌파한 데 이어 2년 연속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익은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2024년 4분기 매출은 6조6268억원, 영업익은 2479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2.3%, 영업익 48.8% 감소했다. 다만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 16.6%, 영업익 90.1% 증가했다.LG이노텍
삼성SDI가 전기차 캐즘 여파로 지난해 4분기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미래 성장동력인 에너지저장장치
종근당바이오가 개별재무제표 기준 2024년 영업이익이 109억54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공시했다. 2023년 영업손
롯데쇼핑이 6일 공시를 통해 2024년에 4천731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고 밝혔다.이는 통상임금 대법원판결에 따른 추정 부담금
코스피 상장사 LG에너지솔루션이 연결 기준 2024년 한 해 영업익이 5천754억원으로 전년보다 73.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
삼성물산의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조 9834억 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3.9% 증가했다.연간 매출은 42조 1032억
인기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LG디스플레이, 주요 협력사와 '2025 동반 성장 새해 모임' 개최
LG디스플레이가 경기도 파주 사업장에서 정철동 사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과 70여 개의 핵심 부품, 설비 협력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2025 동반 성장 새해 모임'을 개최했다.LG디스플레이는 이날 행사에서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기술 혁신 기반 원가 경쟁력 확보 ▲안정적 공급망 구축
Generic placeholder image
김선민 "민주당 만으로 부족,연합군 구성해 파시즘 종식해야"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는 "2025년 대선의 의미는 극우 파시즘 세력을 완전 종식하고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을 건설하는 것"이라며 "민주당만으로는 부족하다. 연대의 힘으로 극...
Generic placeholder image
기관 투자자 71% 2025년 암호화폐 투자 계획 "없다"
기관 투자자의 70% 이상이 2025년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6일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난달 JP모건은 전 세계 60개 지역에서 4200명의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전자상거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71%의 응답자가 올해 암호화폐 거래를 할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2024년 78%에서 감소한 수치다. 또한 16%의 응답자는 올해 암호화폐 거래를 계획하고 있고, 13%는 이미 거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수치 모두 2024
Generic placeholder image
얼마를 어떻게 받아야 할까? B2B SaaS판, 딥시크 부상 속 커진 AI 가격 딜레마
AI 사용 비용이 점점 떨어지면서 AI 기능을 유료로 파는 기업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업체들 가격 전략을 둘러싼 불확실성도 커지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가격을 내려야 한다는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디인포메이션도 보안 업체 팔로알토 네트웍스,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 협업 플랫폼 기업 복스 경영진들을 인용해 관련 내용을 최근 보도했다. 이들 업체 관계자들은 구체적인 회사명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와 세일즈포스 같은 회사들일 것이라고 디인포메이션은 전했
Generic placeholder image
"두쿠" 캐시워크 돈버는퀴즈 문제+정답!
최근 앱을 통해 광고를 시청하고 보상을 얻는 앱테크가 큰 인기를 끌며, 다양한 앱에서 퀴즈 형태의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일요일인 2월 9일 캐시워크 돈버
최신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울산 울주군 상북명촌지구 도시개발 본궤도
울산 울주군 상북면 명촌리 일대에 추진 중인 1317가구 규모의 도시개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길천일반산업단지와 상북농공단지의 배후 정주 기반 강화 및 서부권 주거 환경 개선으로 산단 근로자들의 주거 복지 향상, 인구 유입 촉진,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울산시는 13일 제2회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상북명촌지구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의 건’에 대해 조건부 수용 결정을 내렸다.조건은 토지이용계획상 녹지축 강화, 구역 외 하천 개수 등이다.이번 사업은 상북명촌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이 추진하며, 울주군 상북면
Generic placeholder image
울산 중구 정책자문단 전체회의, 민간위원 49명 위촉장 수여
울산 중구는 13일 청사 대회의실에서 종갓집 정책자문단 2025년 상반기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김영길 중구청장은 기존 위원의 임기 만료에 따라 새롭게 위촉된 민간위원 49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참석자들은 올해 종갓집 정책자문단 운영 계획을 살펴보고, 구정 발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앞서 중구는 지난해 종갓집 정책자문단 설치 및 운영 조례를 개정, 올해 교통환경 분과위원회를 신설하고 민간위원 수를 기존 39명에서 49명으로 늘렸다. 이다예기자
Generic placeholder image
[경상시론]육아휴직 3년 시대, 실질적 정착이 관건이다
2월 23일부터 맞벌이 부부가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이 시행된다. 기존에는 부모 각각 1년씩 총 2년만 가능했으나, 이번 개편을 통해 부모별 1년 6개월씩 육아휴직 기간이 확대되었다. 이는 가정 내 육아 부담을 줄이고, 부모의 경력 단절을 방지하려는 정부의 정책적 의도가 반영된 조치라고 할 수 있다.통계청에서 발표한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현황’에 따르면, 2023년 전체 부부 가운데 맞벌이 가구 비중은 48.2%로 전년 대비 2.1%p 상승하며, 해당 통계가 집계된 2015년 이후 최대
Generic placeholder image
2월 울산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반등’
지방 대출 규제 완화와 최근 두 달간의 하락 기저효과로 2월 울산지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전달과 비교해 큰 폭으로 개선됐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월 울산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5.0으로 전달보다 13.9p 올랐다. 울산은 전국 평균보다 상승폭이 컸다. 수도권은 2.2p 하락했지만, 울산을 비롯한 광역시는 9.2p, 도지역은 9.4p 대폭 상승했다. 지역별라는 서울, 충북(6.8p
Generic placeholder image
울산시 ‘인허가 신속지원’ 현장지원 책임관 파견
울산시가 기업 애로 사항을 해결하는 현장지원 책임관을 중소기업에 보낸다. 울산시는 업무협약을 맺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권역별 현장지원 책임관을 확대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 중인 20개 기업에 대해 권역별 책임관을 지정하고 사업 완료 시까지 사업장을 관리한다. 권역은 △온산국가산단, 에너지융합산단 등 남부권 △울산미포국가산단, 울산테크노산단 등 중부권 △하이테크밸리, 길천·반천산단 등 서부권 △울산미포국가산단, 이화·매곡 산단 등 북구권 △울산미포국가산단 등 5개다.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