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JDC, 제주 주요 공공기관, 최초 합동 사이버 위기대응 훈련 실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제주지역 주요 공공기관들과 함께 제주지역 최초로 합동 사이버 위기대응 훈련을 17일부터 19일까지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 훈련은 최근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정보 유출 및 해킹 위협이 전국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유사한 위기상황 발생 시 도내 기관 간 즉각적 대응 체계와 협력 기반의 위기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JDC를 비롯한 6개 훈련참가 기관은
Generic placeholder image
'섬짱개'? 혼란스런 정체성의 대만, 오해와 미지 영역으로 남아있다
대만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가깝다. 서귀포에 살던 시절 확인한 타이베이까지의 거리는 1000km다. 서울에서 타이베이까지 비행시간은 두 시간 남짓, 제주에서부터는 한 시간 반...
Generic placeholder image
"우대 금리 제공" 카카오-카카오뱅크, 소상공인 컨설팅 서비스 출시
카카오가 카카오뱅크와 손잡고 소상공인 컨설팅 프로그램을 선보인다고 18일 밝혔다.소상공인 컨설팅 프로그램은 사업 운영에 필요한 교육과 대출 우대 금리 혜택을 결합한 서비스다. 카카오와 카카오뱅크가 소상공인에게 필수적인 양질의 비즈니스 강의와 함께 금리 혜택도 제공해 소상공인의 실질적
Generic placeholder image
하나은행도 17일 모기지보험 일시 중단...대출 절벽 심화
하나은행이 오는 17일부터 모기지보험 가입을 중단한다. 하나은행은 "영업점을 통해 신청하는 서울보증보험 MCI 및 한국주택금융공사 MCG 담보로 하는 주택담보대출의 신규 신청을 중단한다"고 밝혔다.14일 은행계에 따르면 앞서 KB국민은행에 이어 하나은행도 MCI·MCG
Generic placeholder image
[딜로이트 글로벌 경제 리뷰] 반짝이는 금이 보내는 신호
최근 국제 금 시세가 폭등한 뒤 일시 큰 폭으로 하락하자 투자자와 전문가들의 눈길이 이 반짝이는 금속의 가격 변화에 쏠리고 있다. 지구에 한정된 양만 매장돼 있는 '우주물질'인 금은 그 자체로 고귀한 신분을 상징하는 귀금속이지만, 투자자들에게는 세계 금융시장의 지각변동을 알리는 신호기
최신기사
Generic placeholder image
대형 국책사업 잇따라 '전남 집중'…"전북 정치권 '인공태양' 연구시설 명운 걸어야"
국가 AI컴퓨팅센터 등 굵직한 국책사업이 잇따라 전남에 집중됨에 따라 1조2000억원 규모의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에 전북자치도와 정치권이 명운을 걸어야 한다는 여론이다....
Generic placeholder image
엔비디아, 매출 83조 돌파… 'AI 거품' 논란에도 사상 최고 실적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 엔비디아가 또다시 시장 기대를 웃도는 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인공지능 투자 열풍의 정점에 서 있음을 입증했다.젠슨 황 최고경영자는 “우리는 AI 선순환 구조에 진입했다”며 거품 논란을 일축했다.엔비디아는 19일 발표한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매출 570억1000만달러, 주당순이익 1.30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LSEG의 전망치를 모두 웃도는 수준이다.전체 매출의
Generic placeholder image
'인공태양 연구시설' 특정지역 대상 추진?…전북애향본부 의구심 제기 '파문'
전북지역 최대 사회단체인인 전북애향운동본부가 20일 1조2000억원 규모의 인공태양 연구시설 설치 사업과 관련해 '특정지역 대상 추진' 의구심을 제기해 파문이 ...
Generic placeholder image
경남교육청, 2026년도 예산안 6조 6058억원 편성
경남교육청은 19일 2026년도 경상남도교육비 특별회계 예산안을 6조 6058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보다 1979억 원 감소한 수준이다. 이번...
Generic placeholder image
신사참배 거부 고 조수옥 씨…문턱 높은 ‘서훈’
하동 출신 조수옥은 해방 직후 아동양육시설인 마산인애원을 설립해 운영하는 등 사회복지 분야에 굵직한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회자된다. 반면, 기독교인인 그가 해방 전 일제강점기 때 신사 참배를 거부해 평양형무소에 갇혔던 사실은 이따금 재조명됐다가도 다시 잊히기를 반복